25.03.22 코인니스 속보에 따르면 미국 백악관 암호화폐 자문위원회 위원장 보 하인스(Bo Hines)가 인터뷰에서 “금 인증서(Gold Certificates)의 재평가가 예산 부담 없이 비트코인을 매입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말했는데요, 이는 곧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추가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재정 접근법을 고려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됩니다.
그렇다면 이 ‘금 인증서 재평가’가 정확히 무엇이며, 비트코인 매입과는 어떤 연관이 있을까요?
금 인증서(Gold Certificates)란?
금 인증서는 미국 정부가 과거 금본위제 시절 발행했던 일종의 금 연동 채권 또는 증서입니다. 과거에는 금을 보유한 만큼만 화폐를 발행할 수 있었기 때문에, 금을 기초 자산으로 담보화한 금 인증서가 국가 재정의 한 축이었죠.
현재는 금본위제가 폐지되었지만, 미국 재무부는 여전히 막대한 양의 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가치는 대체로 공식 고정 금값 기준으로 계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 미국 정부는 1온스당 42.22달러라는 1973년 고정 가격으로 금을 평가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시장가(온스당 약 2,000달러)와 큰 차이가 있죠.
재평가의 의미와 파급력
금 인증서를 현 시세 기준으로 재평가하게 되면, 미국 정부는 보유 중인 금의 자산 가치를 급격히 올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이 약 8,133톤(약 2억 6천만 온스)의 금을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할 때, 금 가격을 42.22달러에서 2,000달러로 재평가하면 약 5조 달러 이상의 장부상 가치 상승이 발생합니다.
이는 곧 미국 정부가 별도의 세금이나 국채 발행 없이 장부상 자산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는 재정 여유를 확보하게 된다는 뜻입니다. 자산가치 5조달러면 대략 540만개 이상의 비트코인을 추가로 매입할 수 있습니다. 현재 보유량과 합하면 전체 유통량의 28% 이상을 미국 정부가 보유하게 되는 셈입니다.
왜 비트코인인가?
현재 미국 정부는 이미 약 198,109 BTC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은 범죄 수사 등에서 압수한 자산이지만, 미국이 BTC를 단순한 처분 대상이 아니라 국가전략 자산으로 활용하려는 조짐이 점차 나타나고 있습니다.
금과 같은 희소성과 디지털 속성, 글로벌 거래 가능성, 자산 분산 효과까지 감안하면 비트코인은 ‘디지털 골드’ 그 자체로 평가받고 있으며, 미국 정부도 이를 점차 수용해 나가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정리하며
보 하인스 위원장의 발언은 단순한 의견 표명을 넘어, 미국 정부의 암호화폐 전략이 한층 진화하고 있다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금 인증서 재평가는 과거 자산을 현대 자산으로 재구성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이며, 이는 곧 비트코인을 국가 단위에서 적극 활용하려는 움직임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제는 민간 투자자뿐 아니라 정부 차원의 BTC 매입 경쟁 시대가 열리는 걸까요? 향후 미국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암호화폐 >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2000만 원에 산 사람은 지금 웃고 있다, 그 이유는? (1) | 2025.02.26 |
---|---|
"달러는 왜 비트코인을 싫어하는가" 책 리뷰 – 비트코인의 진짜 가치란? (3) | 2025.02.24 |
일론 머스크의 금 감사 선언: 비트코인의 시대가 온다 (0) | 2025.02.19 |
비트코인 반감기 다음 해 2~4월, 폭등의 신호탄이 울린다? (0) | 2025.01.30 |
할 피니는 왜 비트코인이 백만 달러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언했는가? (0) | 2025.01.16 |